산구비 돌면 이게 뭐시여 산구비 돌면 이게 뭐시여 바다가 나와 2003년 6월 22일 이춘아 2박3일이면 마치 우리나라 절반은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당일치기 답사가 못내 아쉬웠지만 현실은 늘 하루로만 묶여있었다. 드디어 야심찬 2박3일의 답사가 있었고 결과는 ‘애개개’였다. 도대체 몇날이면 우리나라를 ‘그나.. 지역문화 2019.08.08
서울문화유적 서울문화유적 2002.9.4. 이춘아 [서울문화유적]이란 책이 있길래 목차를 훑어보던 중 동공을 확대시키는 목차의 제목의 있습니다. '우암 송시열 살던 집과 글씨'. 우암 선생께서 28세부터 82세까지 50여년간 걸쳐 나라로부터 부름과 임명을 받은 것이 무려 109차례나 되지만 이에 따른 것은 26.. 지역문화 2019.08.08
죽은 자의 공간과 산 자의 공간 죽은 자의 공간과 산 자의 공간 2002년 6월 14일 파란하늘에 하얀구름 이춘아 1. 죽은 자의 공간 대전의 문화유산해설사들과 처음으로 서울나들이를 했습니다. 종묘와 국립중앙박물관 답사입니다. 자주 서울을 드나는 편이긴 했지만 모처럼 십여명이 함께 기차타고 가는 길은 마치 수학여.. 지역문화 2019.08.08
그 시대의 선택 그 시대의 선택 2002.3.28. 이춘아 흘러간 한국영화를 텔레비전에서 보다가 한창 젊은 시절의 최은희씨의 얼굴을 보았습니다. 1960년대 미인의 기준이었던 최은희씨의 얼굴은 당시의 표현으로 복도 많게 생겼고 후덕하게 생겼습니다. 솔직히 좀 퉁퉁한 얼굴인데 저 얼굴이 당대의 청년.. 지역문화 2019.08.08
경주 답사 경주답사 2002.1.3. 이춘아 이번 경주 답사는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표현보다는 좀 더 다른 나의 방식으로 표현해보고 싶다. 사람이 공부 좀 했다고 일년만에 이렇게 달라질 수 있는가 스스로 대견해 하고 있다. 매년 이렇게 달라지고 있는 나를 확인할 수 있다면 나이듦을 자랑스러워 .. 지역문화 2019.08.08
기호학파사람들과 그들의 문화 기호학파사람들과 그들의 문화 2001년 7월 18일 이춘아 제헌절날 동인들과 '기호학파사람과 그들의 문화'라는 주제로 답사를 갔습니다. 충남 논산시 노성면에 위치하고 있는 윤증 고택을 보고 바로 그 옆자리에 있는 '노성향교'로 갔습니다. 향교대문 앞에서 함께 갔던 우리집 아이가 나에.. 지역문화 2019.08.08
삶의 흔적 <삶의 흔적을 전해주는 일> 요즘 날이 맑지 않아 먼 산들이 잘 보이지 않지만 저기쯤 산이 있음을 확인해 보는 것만으로 흐뭇하다. 산으로 둘러싸인 한밭으로 작년 2월 이주해왔을 때 아파트 난간에서 보이는 산들이 궁금하여 도서관 향토자료실을 찾아갔다. 해뜨는 쪽의 산은.. 지역문화 2019.08.07
왜 퇴계인가 왜 퇴계인가? 2010.9.2 안동 도산서원 답사를 앞두고 다시 물으면서 사전을 찾아보다가 결국 서점에 가서 책2권([함양과 체찰] 2010, [퇴계잡영]2009)을 사서 읽었습니다. 결론은, 아! 이래서 퇴계이구나 입니다. 책이란 이럴 때 가장 요긴한 정보가 됩니다. 여러번 도산서원을 다녀왔지.. 지역문화 2019.08.07
대전지역 문화유산 순례 2003년 8월 18일 대전지역 문화유산 순례 이춘아 대전문화유산해설사 7월 24일 오전9시 30분 유성문화원에서 출발하여 수운교천단 - 숭현서원 - 동춘당 - 둔산선사유적지 - 충남대 박물관 으로 이어진 올해의 대전지역문화유산순례에는 80여명의 가족이 참여했다.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에.. 지역문화 2019.08.07